본문 바로가기
오만가지

나만의 홈시어터 어렵지 않아요! 라즈베리파이로 미디어센터 만들기

by quecosa 2025. 6. 20.

여가 시간에 집에서 한적하게 즐길 수 있는 나만의 홈시어터를 꿈꾸시는 분들 많으실 것 같은데요. 저도 한동안 나만의 홈시어터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고민했던 적이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로 미디어센터 만들기는 적은 예산으로도 고성능 홈시어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인기 프로젝트입니다. 라즈베리파이 하나만 있으면 영화 감상, 음악 스트리밍, 유튜브 시청은 물론, NAS(네트워크 저장소)까지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라즈베리파이를 미디어센터로 만드는 이유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는 저전력, 저비용, 소형 사이즈라는 장점 덕분에 리빙룸용 스마트 미디어 플레이어로 탁월한 선택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이유로 널리 사용됩니다:

  • HDMI 출력 지원 → TV와 직접 연결 가능
  • 4K 출력 가능 (Raspberry Pi 4 이상)
  • USB 포트 및 MicroSD 확장성
  • 전용 미디어센터 OS(Kodi, OSMC 등) 존재
  • 무소음 환경 구성 가능

이처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양면에서 미디어 전용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2. 준비물 확인

미디어센터 구축 전, 다음과 같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 라즈베리파이 4 또는 5 (RAM 2GB 이상 권장)
  • microSD 카드 (32GB 이상, Class 10 권장)
  • HDMI 케이블 (TV 연결용)
  • 전원 어댑터 (5V 3A 이상)
  •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환경
  • USB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 리모트 앱

이 외에도 외장 HDD, NAS, 블루투스 스피커 등을 연동하면 보다 확장된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3. OSMC 또는 LibreELEC 설치

OSMC

OSMC는 Kodi 기반으로 만들어진 미디어센터 전용 운영체제입니다. 직관적인 UI와 가벼운 시스템 구성이 특징이며, 꾸준한 업데이트로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설치 방법:

  1. OSMC 공식 사이트에서 이미지를 다운로드
  2. OSMC 설치 툴로 microSD 카드에 OS 설치
  3. 라즈베리파이에 SD카드 삽입 후 부팅

LibreELEC

LibreELEC은 “Just enough OS for Kodi”를 표방하는 초경량 미디어 OS입니다. Kodi에만 최적화된 구조로, 빠른 부팅 속도와 최소한의 설정이 특징입니다.

설치 방법은 OSMC와 동일하며, Kodi 사용 경험이 있다면 추천할 만한 옵션입니다.

 


4. Kodi란 무엇인가?

라즈베리파이로 미디어센터 만들기에서 Kodi는 핵심 역할을 합니다. Kodi는 오픈소스 미디어 플레이어로, 영화, 음악, TV쇼, 사진, 스트리밍 콘텐츠까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Kodi의 장점:

  • 다양한 플러그인(Add-ons) 지원
  • 자동 메타데이터 다운로드 (포스터, 줄거리, 배우 정보)
  • 한글 자막 자동 다운로드 기능
  • Plex, YouTube, Netflix 등의 비공식 플러그인 활용 가능

Kodi는 리모컨, 키보드, 마우스, 스마트폰 앱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어 활용성이 매우 높습니다.



5. 기본 설정 및 UI 최적화

초기 설치 후에는 다음과 같은 설정을 통해 사용자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시스템 언어: 한국어로 설정
  • 자막: 자동 다운로드 경로 및 기본 폰트 지정
  • 네트워크 공유: SMB 또는 NFS로 NAS 콘텐츠 연결
  • 테마 설정: Kodi 스킨을 통해 UI 개인화 가능

6. 외장 하드와 NAS 연동하기

미디어센터의 핵심은 다양한 콘텐츠 소스와의 연동입니다. 로컬 저장소뿐 아니라 외부 저장 장치 또는 NAS를 연결하면 수백 GB 이상의 영화, 음악, 사진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습니다.

외장 HDD 연결

  1. 라즈베리파이의 USB 3.0 포트에 외장 하드 연결
  2. exFAT, NTFS, ext4 등 대부분 파일 시스템 자동 인식
  3. Kodi의 “파일” → “비디오 추가” 경로에서 폴더 탐색 가능

NAS 연동 (SMB/NFS)

  1. Kodi 설정 > 파일 > 네트워크 위치 추가
  2. 프로토콜: Windows network (SMB) 선택
  3. NAS의 IP 주소, 공유 폴더 이름, 사용자 계정 입력
  4. 즐겨찾기로 등록해 자동 연결 가능

이를 통해 거실 TV에서 NAS에 저장된 고화질 영화나 가족 사진 앨범을 손쉽게 재생할 수 있습니다.



7. 스마트폰을 리모컨으로 활용하기

Kodi는 스마트폰 앱을 통한 원격 제어도 지원합니다. TV 리모컨이 없어도 문제없습니다.

Kore (공식 앱)

  • Android용 무료 앱
  • Kodi와 자동 연결
  • 터치 제어, 자막 선택, 음량 조절 가능
  • 검색 기능도 제공

Yatse (확장 기능 포함)

  • 고급 사용자에게 적합
  • 다중 Kodi 장비 제어 가능
  • 음성 명령, Chromecast 연동, 라이브 TV 제어 지원

앱에서 Kodi의 IP 주소를 자동 감지하거나 수동 입력하면 즉시 연결됩니다.

 


8. 유튜브, 넷플릭스, 웨이브 스트리밍 활용

라즈베리파이로 미디어센터 만들기에서 스트리밍 기능은 핵심 포인트 중 하나입니다.

유튜브 Add-on 설치

  1. Kodi > Add-ons > Install from repository
  2. Video Add-ons > YouTube 검색 > 설치
  3. API Key를 별도로 등록해야 원활한 사용 가능

넷플릭스 Add-on 설치 (비공식)

  1. Kodi 19 이상 필요
  2. InputStream Adaptive 및 Widevine DRM 설치 필수
  3. GitHub Netflix Add-on 설치
  4. 로그인 후 콘텐츠 시청 가능 (유료 계정 필요)

참고: 넷플릭스 Add-on은 최신 버전과 DRM 정책에 따라 다소 설정이 복잡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문서를 참고하여 단계별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9. 자막 설정 및 자동 다운로드

한국어 사용자에게는 자막 기능이 매우 중요합니다. Kodi는 자막 자동 검색 및 다운로드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자막 설정이 편리합니다.

기본 설정

  1. 설정 > 플레이어 > 언어 > 기본 자막 언어: 한국어
  2. Add-ons > Subtitles > OpenSubtitles.org 또는 Subscene 설치
  3. 영상 재생 중 > 자막 버튼 클릭 > 다운로드 > 원하는 자막 선택

기본 폰트 크기나 색상, 위치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라즈베리파이 미디어센터의 가능성

라즈베리파이로 미디어센터 만들기는 단순한 스트리밍 기기를 넘어선 멀티미디어 허브를 구축하는 과정입니다. OSMC, LibreELEC, Kodi의 조합은 여러분의 거실을 다음과 같이 바꿔줄 수 있습니다:

  • 넷플릭스, 유튜브, IPTV까지 한 번에
  • 가족 사진, 영상, 음악 파일 관리
  • 외장 하드 또는 NAS 연동
  • 스마트폰 리모컨 완벽 호환
  • 자막 다운로드와 테마 변경까지 자유롭게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이러한 모든 시스템이 라즈베리파이 하나로 구현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작은 보드 하나로 나만의 홈시어터를 완성해보세요.